반응형

https://www.cnn.com/2020/01/16/business/bose-retail-store-closures/index.html

 

Bose is closing more than 100 stores worldwide

Bose is significantly shrinking the number of retail stores it operates because of the "dramatic shift" to online shopping.

www.cnn.com

내가 좋아하는 브랜드 중에 하나인 Bose가 전 세계 100 여 개의 매장을 없앤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것도 일종의 Amazonification (아마존화)의 일종이겠지만, 단독 브랜드를 가진 그리고 초대형 기업이 아닌 경우는 점차 오프라인 매장을 줄이는 경향을 보여 왔다. 하나 재미있는 현상은 아마존, 애플 등의 거대 브랜드들은 자신들의 매장을 늘려가고 있는 반면에 손익을 따져봤을 때 Bose 매장이 줄 수 있는 효용보다 비용이 훨씬 더 크기 때문일 것이다. 좀더 생각을 해보면,

 

- 과거 Bose가 처음 시작할 때는 자신의 기술 및 음질을 소비자에게 어필 하기 위해서는 매장이 좋은 수단이 되었을 것 같다. 여기에 당시는 온라인 쇼핑이 일반적이지 않았을 테니 당연한 것일 수도 있을 것이고,

- 매장을 운영하면서 소비자의 반영이라던지 브랜드의 visibility를 높일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자신의 기술 및 음질을 비롯한 브랜드 자체가 소비자에게 충분히 각인된 상태라 더이상 그런 면에서 효용성을 높이지 못했을 것이고, 아마존이나 기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서 판매하는 채널이 훨씬더 활발하고 유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택은 당연해 보이긴 한다. 앞으로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는 목적의 매장운영은 점차 시장에서 사라질 것 같다. 소비자 base가 넓은 비지니스의 경우 offline 과의 접점이 필요할 것이고 Bose 처럼 특정 계층(특히 온라인에 익숙한 층)을 타켓하는 비지니스의 경우 online화가 가속화 될 것 같다. 그런면에서 Toy'sRus가 돌아온다고 하니 어떠한 경험 중심의 환경을 어린이들에게 제공할지 궁금하긴 하다. 앞으로 이러한 추세가 계속된다면 분명히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줄 것 같다 (기사에 따르면 2019년에 총 9,302개의 매장이 문을 닫아 전년대비 59%가 증가했다고 한다. 어마어마한 속도이다) 

 

그러면서 아마존, 애플 등 초대형 브랜드들을 비롯하여 넓은 소비자 층을 가진 기업 들은 오히려 자신의 매장을 넓혀가고 있는데, 이는 자신들의 online기반 서비스를 offline에서 좀 더 실시간으로 지원하기 위함이리라 생각이 든다.

 

Online과 offline의 연계를 통한 기업들의 살아남기 전략이 흥미진진한 이유이기도 하다.

 

 

 

반응형
반응형

그렇게 한 학기가 끝나고 가족이 재 결합을 하니 불안하지만 뭔가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것 같다. 첫 학기가 마무리되고 두 번째 학기는 조금 더 심화된 방법론과 본격적으로 전공분야에 관련된 논문을 세미나 형태로 읽기 시작한다. 수업은 여전히 4개 Doctoral Research Method II, Strategic Management Theory Seminar, IT and Organization Design PhD, 그리고  Seminar in Organization Theory PhD. 이렇게 네 과목을 듣게 되었다. 영어수업을 열심히 들어서 더 이상 영어수업을 들을 필요는 없었다. 2010년 봄학기는 전략, Information system, 조직 이론의 과목들에서 주로 매주 최근 관련된 토픽의 논문 4~5개를 읽고 교수와 함께 토론하는 수업 형식이다. RPI의 경우는 크게 재무와 경영 두 개가 있어 1년 차 2학기부터 바로 절반에 가까운 동기들이 나누어졌다. 그래서 교수 1명과 5명의 학생이 수업을 듣는 방식이다 (엄청나지 않은가?). 방법론을 제외하고 3과목을 4~5개 논문을 읽어서 summary를 하고 critique을 하는 것이다. 매주 12개 논문이면 별거 아닌 것 같은데, 사실 한 개의 논문을 보면 그 논문에서 틀이된 이론이 있는데 일단 이 이론이 이야기하는 바를 이해하는데 시간이 엄청 걸린다. (이래서 공부도 하던 사람이 잘하는 것 같다). 그래서 하루에 논문 하나를 정리하는데도 버겁다. 

 

예전 블로그 글을 보니 2010년 1월 25일에 학기 시작! 이라고 쓰고 이틀 뒤에 포스팅에서 이렇게 써놨다.

"

바야흐로,
끝내주게,
힘들구만,

^_^;;

"

단지 이틀이 지났을 뿐인데,

 

아마 이때 힘들게 느꼈던 것은 논문을 많이 접해 보지 못한 탓일 수도 있다. 그래서 각 분야에서 주가 되는 이론들에 대해서 이해가 거의 전무하니 이를 다른 책을 뒤져보고, 무슨 말인지 인터넷 검색도 해보고, 리뷰 페이퍼를 찾아보기도 하고 그러면서 주어진 하나의 논문을 위해서 몇 배나 되는 책과 논문을 뒤져봐야 하는 상황이니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었다. 그렇게 어느 정도 이해가 되면 가설을 읽어 보고, 나는 어떤 가설을 세울 수 있을지 경험에 비추어 이런저런 상상을 해보고 그걸 정리한 다음, 데이터와 방법론 섹션으로 넘어간다. 일단 이 부분이 이해하기가 힘든데 그래서 방법론 수업을 듣는 것이다. 그래도 수업에서 듣는 거랑 실제 논문에서 쓰는 거랑은 제법 차이가 있어서 거기서 또 많은 시간을 쓰고, 그 가설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무엇을 어떻게 측정하고 결과를 도출했는지 읽어 본다. 그리고 결론과 토론 부분을 읽는다. 전체를 읽고 다시 조금 정리를 한다. 이런 사이클을 돌다 보면 하나의 페이퍼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이틀이 넘기도 했다 (배경 지식이 없어서 그랬을 수도).

 

힘들긴 했지만, 동기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하는 이야기가 가장 재미있었다고 했다. 나도 그랬고, 첫 학기에는 전반적인 내용을 커버하는 반면에 두 번째 수업에서는 각 분야별로 포커스 된 논문을 읽다 보니 아! 하는 부분도 많이 있고, 그걸 비평하다 보면 이런저런 발전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다양한 아이디어가 넘친다. 어쩌다 보면 스스로 '아! 대박' 하는 아이디어가 떠오르기도 한다. (물론 이 대부분의 아이디어는 조금 더 찾아보면 누군가가 하고 있긴 하다).

 

팁으로 읽은 논문들을 기록해 놓는 노트를 하나 마련하면 좋다. 그리고 각 논문을 도식화시키고 (대부분의 경우 논문이 인과관계를 구명하기에 도식화가 가능해진다. *경영 분야의 경우), 방법론과 측정방법 그리고 여기에 무엇을 더할 수 있을지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두면 도움이 된다. 또한, 이를 측정하려면 데이터가 필요한데 데이터를 어디서 구했고 그 데이터는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정리해 놓으면 도움이 된다. (물론 나도 생각은 했는데 꾸준히 하기 쉽지가 않다).

 

스스로의 상상이겠지만, 자신만의 지식이 아주 크게 성장하는 것 같고 나 스스로도 아이디어가 막 떠오르기 때문에, 참 행복한 시기가 아닐까 한다. 그런데 나중에 이야기하겠지만 이것을 실제로 테스트하고 작성을 하려고 하면 또 다른 세상이 열린다. (아이디어 내는 건 사실 누구나 할 수 있다.) 각 세미나 수업에서는 학기말 페이퍼를 요구하는데 실제로 자신만의 논문을 써보는 것이다. 데이터는 당장 구하기 힘드니 데이터 부분을 제외하고. 그 와중에 IT 세미나 수업에는 예전 연구소 때 설문조사했던 자료가 하나 있어 그것을 바탕으로 교수와 이야기를 하였고 고 Ravichandran 교수님이 HICSS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학회에 내보라고 해서 내었는데 결국 2학기가 조금 지나고 다행히 accept을 받았다. 이렇게 이 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은 자신의 텀페이퍼를 발전시켜서 자신의 논문 타픽을 정하기도 하고, 이때 대략 지도 교수님도 대략 선정을 하게 된다. 

 

커피와 함께 쌓여있는 읽어야할 논문들

2 학기가 끝나면 (1년 차가) Microeconomics와 Research Method 두 과목으로 Qualifying Exam을 치게 하는데 이게 엄청 스트레스이다. 물론 열심히 하면 된다지만, 시험 범위가 뭐 전체 이런 형식이라 어떤 질문이 나올지 모르기에 그냥 무작정 처음부터 보고, 또 보고 풀어보는 수밖에 없다. 박사과정의 경우 학교마다 조금씩 다르긴 한데 이렇게 매년 Filtering을 하는 시험 혹은 연차 페이퍼를 쓰게 한다. 그게 지식의 습득을 확인하는 것도 있지만, 내가 듣기에는 박사과정이 긴 과정이기 때문에 맞지 않으면 빨리 나가서 다른 길을 모색하라는 의미에 서라는 이야기를 교수님께 들은 바 있다. 생각해보라 고시에도 장수생들이 있는데 박사과정도 능력이 안되어 막연히 질질 끌 수는 없는 일이니 일면 타당해 보이기도 한다. 내가 RPI에 있을 때는 Qualifying Exam으로 1차를 거르고, 2차는 field exam이라고 해서 교수님이 대략 30~40개 정도 되는 논문/책을 주고 이것을 읽고 관련된 자신만의 페이퍼를 발전시키는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둘 다 고통스럽다).

 

학교마다 이 절차를 굉장히 엄격하게 적용하는 경우도 있어서 듣기로는 매년 50% 정도를 탈락시킨다는 이야기를 듣기도 했다. (학교 선정을 하실 때 이런 학교의 분위기를 알아보는 것도 중요하다) 실제로 내가 아는 지인 중에 이 Qual이 안되어 한국에 돌아가신 분도 있다. 그래서 처음에 어드미션 포스팅을 할 때 당연히 기분이 좋겠지만, 그 뒤에는 엄청 큰 산이 있다는 것이다. 입학한다고 다 졸업하는 건 아니니 말이다. (내 개략적 생각에 입학에서 졸업까지 성공적으로 되는 경우가 60%가 안될 것이라 생각한다).

 

이 시험을 위해서 여름 방학 내내 아침에 일어나 도서관에 가고 와이프가 싸주는 도시락 까먹으면서 공부하고 저녁에 잠시 들어와 저녁 먹고 휴식을 취하다 다시 학교로 가서 자정이 넘게 까지 저 두 과목을 풀고 또 푸는 과정을 거쳤다. 뭐 다행히 시험은 패스했지만, 동기 중에 한 친구는 패스하지 못했지만, 학교에서 다행히(?) 내치지는 않았고 방법론을 처음부터 다시 듣게 하여 결국에는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것이 학교 내부 사정을 아는 사람만 아는 학교만의 분위기인데, 직장인에 가족을 데리고 목숨 걸고 오는 분들 같은 경우는 이런 과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보통 Qual에서 떨어지거나 하면 다른 학교에 다시 지원해서 박사과정을 이어가는 경우도 있는데, (학교마다 다르지만) 그만큼 만만치 않은 과정이라고 보면 된다.

 

시험을 일주일 앞둔 포스팅에서 그 심정을 엿볼 수 있어서 가져와 본다.

 

"퀄이 이번 주로 다가왔다
며칠 동안 열심히 하는 것 같은데도 뭔가 허전한 이 기분은
인생을 살면서 기백 번은 더쳤을 시험에도 더 심해져만 간다
아마 조금은 부담감 때문일 런지도
잠도 제대로 못 자고 머리는 멍 몸은 축 쳐져 있다
간신히 오늘 수업 준비를 끝내고 조금 널브러져 있기로 한다"

 

1년차를 마치고 Qualifying exam 치기 전에 동기들 모여서 함께 식사 (시험 전이라 얼굴들이 밝네)

정말 공부 이야기밖에 없네요.. 진짜 공부 열심히 하셨겠어요! 하시겠지만,

다음 편에는 이제 노는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반응형

이 놈의 영어...

내가 속한 경영대 건물에는 내가 입학할 당시 총 3명의 한국인(Korean American 포함)이 있었는데, 교수님이 두 분 계셨고 그리고 학생은 유일하게 나였다. 학교도 크지 않았을 뿐더러 대학교, 대학원을 통틀어도 50명이 될까말까 였으니 한국인이 많지는 않은 학교였다 (사실 잘 모르시기도 하고) 그래서 언어적인 문제가 정말 힘들었는데, 특히나 외국인과 말한 경험도 별로 없을 뿐더러 미국 생활 자체가 처음이라 더욱더 벽이 크게 느껴졌었다. 그런 환경을 이야기 하니 룸메이트는 "형은 어학연수랑 박사과정이랑 동시에 하는거네요!" 하기도 했었다. 사실 그런 마음이었다. 박사과정을 어학연수랑 동시에 진행하다니..

 

언어도 언어지만, 문화적인 부분이 이해가 안되니 언어가 더 크게 느껴졌다. 익숙한 사람들이야 아무렇지 않게 느꼈지만, 처음에 스타벅스에서 커피 한잔 주문하는데 얼마나 심장이 쿵쾅 거리던지.. 그래서 입구에서 속으로 연습하고 간다. 'Americano please...' 'Americano please...' 그렇게 점원 앞에 다가가면 또 스타벅스의 점원들은 친절하다. 웃으며 말을 건넨다. "How're you doing. Today, I love sunshine out there" 원래 시나라오는 (뭘 줄까? 라고 물으면 어, Americano please)로 간단히 끝내려고 했는데, 갑자기 날씨를 꺼내니 뭐라고 답변을 해야할지 몰라.."Yes..."하고는 머리속이 폭발해 버린다...!#$@#$^@#$^@!! 오랜시간을 머뭇거리다 "Americano please"라고 했더니 "What size"한다. 또 버벅버벅 (무슨 사이즈? 라지, 빅, 스몰.. 사이즈에 대한 온갖 영어 단어들이 머릿속에 가득하다).. "라지"라고 하자, 점원은 "Grande is okay?"라며 묻는다. '그란데? 이거 무슨 greater 같은 의미인가?' 라는 세상에 온갖 복잡한 상상들이 머릿속을 가득 매운다. 내 머릿속은 마치 엘론 머스크가 SpaceX의 펠콘 로켓을 쏘았다가 정확한 위치로 착륙시키는 복잡한 물리적 수학적 기계적 공식과 계산들로 가득하다. 그냥 커피 한잔 시키는 것 뿐인데.. 멍한 얼굴로 그 자리를 일단 모면하고 싶어.."(주저하다).. Yes" 한다. 이제 끝났겠거니 생각했더니 이 밝은 미소가 예뻤던 점원은 그냥 나를 보내줄 생각이 없는 것 같다. "You owe me XXX Dollars." 이건 또 무슨 황당한 말인가? 머릿속으로 다시 펠콘 로켓을 쏜다. '그러니까 You는 너고 Owe는 빌리다 인데, 나는 돈을 빌린적인 없는데? 무슨말인지?...'라고 한참을 로켓을 발사하는데 점원이 내 손에 들고 있는 현금을 가르치면서 웃는다. '아! 돈달라는 이야기구나' (*참고로 물건 등을 살 때 얼마예요. 혹은 얼마를 더 내세요 할때 저런 표현을 쓴다). 그깟 스타벅스라고 생각하지 마시라 진짜 살떨리는 경험이다. 결국 스타벅스의 물산 사기 프로젝트는 미국에 온 지 두달만에 그래도 적절히 대화를 할 수 있는 정도가 되었고 4개월이 지나서야 Drive through를 편하게 할 수 있었다.

 

지난 편, 김연아의 연기를 보러 갔던 Lake Placid에서 함께 갔던 분과 함께 샌드위치 가게를 갔었는데, 바닐라 밀크쉐이크를 들고오며 "아 내가 바나나 밀크쉐이크를 시켰는데, 바닐라 밀크쉐이크를 줬다"며 "미국에서 산 지가 몇년이 되었는데도 내가 먹고 싶은것도 못시킨다"고 한참을 함께 웃었던 기억이 있다 (물론 바꿔달라고 하면 바꾸어 주는데 그냥 먹었다). 나만 그런게 아니구나...

 

유학생활에서 뭉친 한국인들

아마 누군가는 이렇게 생각하실 수도 있겠다. '아 나는 원래 혼자 있길 좋아하고 책 읽는걸 좋아하니 미국에서 잘 살아남을 수도 있을꺼야', 혹은 '어차피 공부하러 온 거 한국인들과 어울리지 않고 열심히 해서 영어도 잘하고 살아남겠어' 나쁘지 않은 생각이다. 미국에 처음 학회차 와서 맨하튼을 왔을때 당시 뉴저지에서 살고 있었던 혜정이와 인석 형님 부부가 주변을 구경 시켜주었는데, 맨하튼은 맨하튼대로 좋았지만, 뉴저지에 가보니 '와! 이거 영어 못해도 살겠는데?'라고 느낄 만큼 어딜가나 한국어가 통했다. 그걸 보면서, 어학연수든 유학이든 자칫 잘 못하면 시골에서 마치 서울로 학교를 간 국내유학생 처럼 되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고, 외국에서 일년동안 어학연수를 해도 별로 늘지 않았다는 영어실력을 한탄하는 친구들을 볼 때 한편으로는 부러우면서 이해가 되지 않았었는데, 그럴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렇게 기본지식과 경험이 없었던 나에게 한국인 유학생 동기들은 (한참이나 어린 나이들이었지만) 참 힘이 많이 되었다. 그들도 힘겹게 대학원과정을 하고 있기에 다들 버거웠지만 한 주에 한번 주말에 맥주한잔 기울이면서 외국인으로써의 삶이 주는 '이주의 바보들' 시리즈 이야기에 쌓인 스트레스를 풀고 또 정보를 공유하기도 하였다. 그러기에 사실 많은 사람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마음이 맞는 몇몇 친구들이 있으면 된다. 

 

미국에 온 첫 날 공항라이드를 물론 미국의 처음을 열어주었던 윤성호 박사는 RPI에서 공학박사를 마치고 다시 Medical Doctor를 따서 현재 의사 레지던트로 열심히 살고 있고, 그날 이후로 뉴욕에 갈 때마다 연락해서 만나는 인연이 되었고, 미국에서 처음 김치찌게를 끓여줬던 박승호 연구원은 그해말 연수기간이 끝나 집으로 돌아간다며 그간 함께 일했던 Dr. Sanderson과 나중에 내 지도교수가 된 Dr. Simons와 함께 저녁을 먹었고 처음부터 해서 미국에 지내는 초기에 나를 도와주었고 지금까지도 좋은 인연이 되어 함께 하고 있다. 9월부터 12월 말까지 룸메이트가 되어 내가 미국 생활하는데 결정적으로 도움을 준 동형군은 현재 한국에서 아주 바쁘게 사업을 하고 있고, 그 와중에 잠시 거실을 빌려 살았고 첫 학기 내가 지칠때 마다 새벽에 함께 새벽공기를 마시며 차를 몰고 나가 던킨도넛에서 커피쿨라타를 사먹었던 지민군은 지금 Las Vegas에서 공연장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다. 같은 나이로 기계과 박사과정이었던 정준규 박사는 삼성전자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고, 우리 주말모임의 홍일점이자 분위기 메이커였던 천재소녀 이미지 박사는 현재 하바드에서 바이오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생각해 보니 같이 찍은 사진은 별로 없지만, 함께 어려운 시기를 함께하고 콩 한쪽도 나누어 먹는 마음으로 서로를 도우며 의지 했던 것 같다. 시간이 지나서 돌아보니 참 똑똑한 친구들과 함께했었구나 하며 정말 당신들 덕분에 미국 생활을 잘 이겨낼 수 있었다는 감사의 말을 전한다. 세계 곳곳에서 각자의 맡은 바를 잘 하길 빈다. 

 

박승호 연구원 한국 돌아가는 날, Dr.Sanderson, Dr.Simons와 함께
윤박사 졸업식
미국을 알게 해 준 지민군

마무리 되는 첫 학기

정말 첫 학기는 어떻게 지났는지도 모르게 끝에 치다르고 있었다. 마지막 페이퍼를 정리하며, 한 학기 동안 살아남았다며 스스로에게 '너 고생했다'고 몇 번을 다독거렸다. 수학이나 통계에 조금더 공부해 놓을껄 부터 시작해서 나는 영어를 왜이리 못할까 하며 읽던 책을 던져버리길 수십번은 했던 것 같다. 큰 결심을 하고 돌아보지 말자며 한국에 있던 집도 돈도 다 정리해 버린 나에게 외국생활에 엄청난 공부 부담은 하루에도 에베레스트 산을 수십번 오를 만큼 감정의 기복이 컸던 것 같다. 그랬기에 함께 하는 동지들(대학원생)이 더욱더 귀하기도 했고, 다행이 한국인은 없었지만 박사과정 동기들이 많은 힘이 되어 주었다. 내가 나이도 제일 많았고 영어도 제일 못했기에 제일 도움을 많이 받았고, 나도 뭔가 역할을 하려고 노력도 많이 했지만 받은거에 비해 보잘것 없는 수준이었을 것이다. 감사한 녀석들.. 영어수업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아침 수업을 열심히 들어 선생님도 잘 했다고 했고, 지난번 시험에서 1등을 했던 과목은 결국 1등으로 마무리 하였다. 물론 경영 기본서를 많이 읽어야 했던 수업은 그래도 A-를 받았고, 통계를 잘 못 했지만 겨우겨우 A를 받았다. 경제학은 아쉽게 B+로 마무리. 박사는 다 A 받는거 아니냐고 혹시 생각했다면 '아니네요.'라고 말씀드리고 싶다. 첫 학기 고생했다. 나.

 

재 결합하는 가족

학기가 끝날 무렵 한국에서도 와이프가 눈물로 모든 가전을 정리하고 (중고로 정리해 본 분들은 아시겠지만 중고상을 이용해서 뭔가를 판매하려면 눈물난다. 정말 똥값이라고 보면 된다. 처음에 얼마에 샀는지는 의미가 없다), 나머지 짐들을 해외이사를 시키고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이브에 미국으로 들어오기로 했다. 당시 내가 살던 집에는 룸메이트와 거실에 지민군이 (잠시) 살고 있었는데, 이들이 이사를 나가야하는 시점이 온 것이다. 맨하튼으로 내려가며 두 룸메이트들에게 와이프가 오니 집 정리를 잘 부탁한다고 부탁하고 차를 몰고 내려왔다. 내려온 김에 크리스마스 이브를 맨하튼에서 보내기로 한다. 뮤지컬 라이온 킹도 보고 맨하튼도 구경하기로 한다. 8월 초에 미국으로 돌아왔으니 5개월 만에 만남이다. 

 

커다란 짐을 낑낑대며 공항 출국장에 나타난 와이프를 데리고 뉴저지 (맨하튼 호텔은 너무 비싸) 뉴왁 근처의 호텔에 체크인 했더니 그간 할말이 많았던지 혼자서 집을 정리하면서 마음이 많이 아팠다고 한다. 하루를 쉬고 다음날 맨하튼으로 넘어가 내가 좋아하는 감미옥에서 설렁탄을 먹고 뮤지컬을 즐겁게 보고, 유명한 록펠러 센터의 크리스마스 트리도 본다. 정말 크리스마스 느낌이 물씬 난다. 다음날 Hmart에서 장을 보고 뉴욕주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I-87을 타고 Albany로 향한다. 뉴저지 까지는 집도 많고 한데, 뉴욕주에 접어 들자 마자 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내가 웃으며 "여기서 부터 2시간 30분 동안 아마 집이 안보일꺼야"하니 웃음이 사라지는 것 같다. 피곤해선지, 두려움에선지 올라가는 내내 별 말이 없다. 그렇게 2시간 30여분이 지난 후 집에 도착한다. 다행히 룸메이트들이 집을 잘 정리해놓았다. 저녁 무렵 도착하니 우중충한 날씨게 여기저기 눈이 지저분히 녹아 있고 도시도 우중충 하고 어둡다. 집을 둘러보고 와이프는 씻으러 들어갔고 한참을 안나오기에 또 무슨 문제가 있나 싶어 가봤더니 욕실에 앉아서 울고 있는 것이다. "뜨거운 물이 안나와".. 하며, 한편으로는 안쓰럽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웃기기도 했는데 저녁에 맥주한잔을 마시며 그간 한국에서 혼자 정리하는 것도 힘들었고, 미국에 오는 것도 여기서 앞으로의 생활이 두려웠는데 뜨거운 물이 안나오자 왠지모를 서러움이 터진 모양이다 (*미국의 많은 가구들은 워터히터-물을 담아서 데워주는 장치-를 사용하는데 물을 오랫동안 쓰면 다시 데워질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미국의 시골 도시들은 한국의 그것에 비해 어둡고 건물들도 오래되어 좀 답답한 그런 느낌이 있다. 특히나 밤에는 대부분의 건물에 불빛이 꺼져 한국 도시의 밤과는 전혀 느낌이 다르다. 그 점도 일조 했을 것으로 본다.

 

그렇게 이제 가족으로써의 유학생활이 시작되는 것이다.

 

 

내가 애정하는 감미옥 설렁탕
도서관에서 바라보는 트로이 시내 (겨울에는 우중충 하다)
룸메이트들이 정리해 놓은 부엌 (이제 집기가 많이 늘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