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Netflix를 통해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라는 드라마가 인기를 끌고 있다. 이 드라마는 한국에서 ENA 채널을 통해서 방영중이라고 하는데, 나는 미국에서 거주하는 관계가 Netflix를 통해서 아주 재미있게 보고 있다. Netflix에서 이 드라마에 대한 Trailer가 나왔을 때 부터 '와 재미있겠는데?' 라는 생각이 들 만큼 무엇인가 획기적인 주제를 가진 것으로 보였고, 실제로 지금 9화 까지 끝난 상태에서 돌이켜보면 아주 유쾌하고 재미있게 만들어진 드라마라고 생각한다. 

 

독자분들도 이미 아시겠지만, 이 드라마의 주인공은 자폐 스펙트럼 (Autism spectrum disorder)를 가지고 있으나, 극 중 주인공 우영우는 법에 아주 비상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서울대 법대 수석 출신 변호사로 표현되고 있다. 이 드라마를 보면서, 오래전 인상깊게 보았던 영화 1988년 작 Rain Man이 떠올랐다. 그 영화에서 더스틴 호프만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사람으로 나오는데 아주 비상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는 캐릭터로 표현이 되어 인상적이었는데, 그 의미에서 이 드라마와 줄기가 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이 드라마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는 반면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한표가 있음), 너무 사실적이지 않고 극적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있는 것 같다. 개인마다의 평가는 다르겠지만, 적어도 내 개인의 의견은 숨기지 말고 오픈한 상태에서 나아갈 수 있는 논의를 하는게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보기에, 극적인 면이 강하다고 하더라도 지속해서 드러내서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조금 삼천포로 빠지자면, 한국에 있다가 미국에 오니 이런면에 있어서 더욱더 오픈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돕고자하는 노력이 훨씬 크다는 면이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여름학기 발표해서 학생팀 중에 한 팀이 ultranauts (https://ultranauts.co)에 대해 발표를 했는데, 이 회사가 눈에 확 들어왔다. 이 회사는 MIT 출신 두명의 엔지니어 (Art Shectman & Rajesh Anandan)가 2013년에 만든 회사로 이 회사의 미션은 "neurodiversity is a competitive advantage for business"를 제시하고 있다. 2013년 이 회사는 인지적 다양성을 가진 팀을 위한 완전한 원격근무 환경을 구축하였고, 현재 미국 30개 주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75% 이상이 신경적 다양성 (nerodiversity)을 가진 인력이라고 한다. 

 - 대부분은 자폐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고 하며, ADHD, Dyslexics (실독증, 난독증)을 가진 인력이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인력이 많으며, LGBTQ+ 를 포함한 인력이라고 함.

 

앞서 이야기 했던 Neurodiversity를 가진 개인의 특징을 살려 (기억력이 좋거나, 높은 패턴 인식 능력),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Quality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현재 ultranauts 는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근무 환경을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인력들에 맞도록 디자인 했다고 하고, 이 부분이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 아닌가 싶었다. (ultranauts에서는 이를 Universal Workplace라고 부름).

 - 모든 동영상 회의는 자막을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미팅 주제를 미리 공유하고 이를 문서를 통해서 참여할 수 있음

 - 회사 멤버들에게 그들의 강점이 제대로 활용이 되고 있으며, 혹시 일하는데 있어서 외롭지 않은지 질문을 받는다고 함

 

현재 이 회사는 AIG, BNY Mellon과 Cigna 같은 큰 회사를 고객으로 웹사이트나 앱의 품질을 검증하고, 데이터품질 검증, 데이터 분석 등의 업무를 구체적으로 수행한다고 한다. 현재 2020년 기준으로 90명의 인력을 가지고 있으며, 2022년까지 200명을 목표로 한다고 하였다. Ultranauts는 The Disability Opportunity Fund, Sustain VC, Wasabi Ventures, Moai capital로 부터 2020년 까지 $5.7million을 투자받기도 하였다 (https://www.nytimes.com/2020/10/18/technology/ultranauts-remote-work.html)

이와 유사한 회사는 Specialisterne, Auticon, Daivergent, Aspiritech와 같은 회사가 있다고 한다.

 

여기에 더 나아가, 관련된 경영학 관련 문헌을 찾아보니 이러한 다름을 기회로 보고 Entreprenurship 과의 관계를 생각보다 연구가 제법 되어 있었고, 그 중에 전체적인 연구를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기회를 설명한 Mental disorders in the entrepreneurship context: When being different can be an advantage -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32(2), 2018. 이라는 논문을 찾아서 약간 정리를 해보았다 (https://07701.tistory.com/201).

 

나도 아주 많은 생각을 해본 것은 아니지만,  이 드라마를 통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실제로 조금 검색을 해보니 생각보다 경영학 분야에서(Entrepreneurship)도 제법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늦었지만, '왜 이런생각을 못해봤을까?' 하며 나의 무지를 탓하기도 하였다. 그래도 늦은것이 늦은게 아닐 수도 있지 않을까 특히, 한국의 경우는 이러한 관심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Art Shectman과 Rajesh Anadan이 설립한 Ultranauts 와 같은 회사가 나왔으면 좋겠고 (SAP 도), 이러한 회사들이 꾸준히 비지니스를 발전시킬 수 있었으면 하며 앞으로 관심을 좀 더 가져보자며 다짐했다. 

 

다름이 장점이 되는 시대.

반응형
반응형

Mental disorders in the entrepreneurship context: When bing different can be an advantage -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32(2), 2018

https://doi.org/10.5465/amp.2017.0063

 

연구 동기

- Mental disorders (정신 질환)을 가진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고, WHO에 따르면 2020년까지 전세계에 약 1/4의 인구가 일종의 정신 질환을 가질 것으로 추정하고 있음

- 이러한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인구에 대해 사회적/체계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한 시점임

-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개인의 경우, 심리적인 불안정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 뿐만아니라, 개인의 성장에 필요한 직업, 관계, 기회에 대한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간접적인 영향도 큰 상황

그러나,

저자들은 아래와 같은 이유로 Mental disorders와 Entrepreneurship의 관계를 살펴보려고 함

1.  사람의 성격이나 행동에 대한 기능적/비기능적 판단은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2. 창업가가 되는 것은 개인이 가진 특수한 상황과 능력에 맞는 업무를 설계할 수 있는 여지를 줄 수 있음

3. 상황에 따라서,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나은 능력을 보일 수 있음

 

기존 논문 정리

1. Job design, mental disorders, and entrepreneurship

- The Job Demand-Control (JDC) 모델에 따르면, Job demand (업무량)과 Job control (업무조절성)이 사람에게 Stress를 준다고 하였음

- 창업가는 엄청난 Job demand가 있긴 하지만, Job control 면에서는 높은 자유도가 있기 때문에 엄청난 스트레스도 오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장기적으로 봤을때 그 스트레스가 낮을 수 있음.

- 과거 논문에서 Mental disorders (Anxiety and depressions)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섞인 결과(부정적&긍정적)을 보여주고 있듬

 

2. Occupational choice, Mental disorders, and entrepreneurship

- 최근 몇몇 논문에서는 창업가가되어 신경적 다양성을 치료 (혹은 나아지게 하는)하는 것 보다는 창업가가되어 직접 직업을 선택하는데 초점을 둔 논문이 나오고 있음

(*직업의 선택 (Occupational choice)은 다른 직업을 선택했을때에 비해 얼마나 많은 현재가치를 주느냐 (주로 경제적 가치 혹은 정신적 이득)를 강조하고 있음).

- 창업가가 됨으로해서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의 요구에 맞는 직업을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에게 금적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 (i.e., job control 과 flexibility).

- 특히, Mental disorder의 다양성을 반영한 직업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음

- 그러나 보상 시스템이 항상 성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저성과자일 경우, 기존 회사에 들어가는 것이 나을 수도 있고 기존 기업 (대기업)이 자원의 Buffer를 가질 확률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더 나을 수 있다는 관점도 있음

 

3. Neroscience, Mental disorders, and entrepreneurship

- 특정 정신질환의 경우, 유전자를 통해서 남겨져서 진화를 통해 발현되는 것을 신경적 다양성 (Neurodiversity)라고 함

- 신경적 다양성에서 Strength-based approach (강점을 기반으로 한 접근)이 떠오르고 있음. 이는 신경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의 강점에 맞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음

- 2013년 SAP에서는 Autism spectrum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인력을 고용해 Software tester로 활용

- ADHD 특성이 창업의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ADHD 증상이 창업의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

- Dyslexia (난독증)의 경우에도 좌뇌의 능력이 부족한 만큼 우뇌의 능력이 뛰어나, 공간 지각능력, 패턴 인지 능력이 높은 능력이 가지고 있음을 보임

- 한 연구의 경우 창업자의 경우 일반 관리자에 비해 높은 Dyslexia(난독증)를 보였으며, Dyslexia를 가진 창업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창업자에 비해 빠른 성장을 보인 연구결과를 보임

 

4. Coping and Resilience, Mental disorders, and entrepreneurship

- 정신 질환을 가진 사람의 경우에는 학교, 사회, 직장에서 Coping (대처) 과 Resilience (회복) 능력을 자연스럽게 키우게 되는데, 이러한 능력 자체가 창업환경에서 유리한 점이 있음

 

연구기회 (전체적인 그림)

(Wiklund et al., 2018)

RO1 - When positive is bad and negative is good for entrepreneurs.

반응형
반응형

How novice and experienced entrepreneurs name new ventures -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60(4), 2022

https://doi.org/10.1080/00472778.2020.1738820

 

연구 동기

- 창업자 들이 결정해야할 것 중에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이 적절한 이름을 짓는 것임

- 적절한 이름을 짓는 것은 특히! 초기 창업시기에 아주 중요한 의사결정 중에 하나이며, 특히 회사가 적법한 (legitimate)한 기업인지를
   알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함.

- 지금까지의 연구는 회사의 이름 자체가 회사의 성과에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했으나, 어떻게 이름을 짓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함.

- 특히 초보 창업자와 창업에 경험이 있는 창업자가 어떻게 회사의 이름을 짓는지 알아보려고 함.

 

연구 내용

- 초보 창업자와 경험 있는 창업자들이 같은 형태의 비지니스를 가진 회사의 이름을 지을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려고 함.

 

데이터 및 방법론

- 8명의 연쇄 창업자 (회사 이름을 적어도 3번은 만들어 본 창업자) 와 8명의 초보 창업자들을 대상으로 함

- 국적은 네델란드 였으며, 전체 창업자는 남자를 대상으로 함 (평균 age 24.81)

- 정성적(Qualitative approach) 방법론 - Think-aloud verbal protocal analysis 와 Semistructured inverviews.

 

결과

- 인지적 네이밍(cognitive naming) 과 감정적 네이밍(emotive naming)으로 나눌 수 있음.

- 인지적 네이밍은 인지적으로 얼마나 유창하게 느끼는지 (쉽게 이해가 되는지 혹은 서치엔진에 적합)와 제품에 대한 직접적 설명으로 구성

- 감정적 네이밍은 미래 성장에 대한 의도나 사용자들이 얼마나 흥미를 느끼는지에 대한 것으로 구성

- 초보창업자는 인지적 네이밍을 하는 경우가 많음 - 인지적 네이밍은 제품이나 제품 기능에 대한 직접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

- 경험이 있는 창업자는 감정적 네이밍을 하는 경우가 많음 - 감정적 네이밍은 그 스타트업의 미래 성장방향을 포함한 포괄적 형태

 

실무적 의미

- 초기 창업자의 경우 제품에 대한 인지적 네이밍을 하게 되어 연쇄 창업자가 추구하는 미래에 대한 성장이나 회사 이름 자체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를 놓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에 감정적 네이밍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좋음.

- 다양한 사람들에게 회사 이름을 보여주고 의견을 듣는 것이 필요.

 

생각들

- 창업자들이 우선적으로 결정해야할 문제 중에 하나는 회사의 이름을 짓는 것이다. 실제로 많은 학생 창업팀을 보면서, 정말 다양한 회사 이름을 짓는 것을 많이 봤고, 때론 웃기도, 때론 깜짝놀라기도 하였음.

- 실제로 학생 창업팀일수록 생각보다 많은 고민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음.

- 특히 초기 창업시기의 경우에는 회사 이름이 외부 관계자들에게 적법성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어느정도 알려진 회사와는 가장 큰 차이가 있지 않을까 싶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