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젯밤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이 Academy awards의 4관왕을 휩쓸었다. 페북으로 그 소식을 전해듣고 참 한국인으로써 미국에 살며 참으로 뿌듯한 마음이 퍽차 올랐던 것 같다. 거기다가 국제영화상, 감독상, 각본상, 그리고 작품상 4관왕에 작품상까지 휩쓸다니 대단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국제적으로 highlight를 받았다고 생각되는 일이 있으면 학교에서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어 입이 근질근질 한다. 싸이의 강남 스타일이 Youtube에서 2억뷰를 넘어가며 온 세계가 그 춤을 따라하는 비디오가 넘쳐날 때도 마찬가지였다. (물론 이때는 한국에 있었다.). 그러한 국뽕이 빠져들면서도 항상 조심스러운건 내가 한국인이기에 너무 또 한국 이야기에 빠지거나 하면 학생들에게 안좋은 영향을 주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도 있다.

 

아무래도 내가 가르치고 있는 Salisbury University는 대도시에 있는 것이 아니라, 특히 Maryland에서도 동쪽 외진곳 Eastern Shore에 위치하기에 내가 상대하는 학생들이 그렇게 국제화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항상 발목을 잡는다. 다만 최근 한국 회사들 Samsung, LG, Hyundai, Kia 의 선전으로 많은 학생들이 이 브랜드를 알긴 한데 사실 이 회사들이 한국에 본사를 두고 있다는 걸 아는 친구도 그리 많지 않다. (뭐랄까 관심의 차이랄까)

 

대도시 가면 한국 음식(비빔밥, 불고기) 정도는 그래도 아는 친구들도 많이 있고, 요즘 한인식당에 가면 한국식 BBQ를 즐기려는 외국 아이들이 많은 걸보면 BTS, 한국 드라마 등의 역할이 꽤나 컸던것 같은데 이곳은 그 손이 닿지 않은 청정구역(?)에다가 한국 식당도 그나마 하나 있던게 없어져서 한국분이 하시는 스시집에 가서 비빔밥을 시켜 먹는 동네이니 어느정도인지 알만 하리라 생각한다.

 

그래도 가끔씩 "내가 말이야 싸이 닮았다는 이야길 들었어"하면 종종 빵 터지고 하는걸 보면 이곳 미국에서도 기업이나 복잡한 국제 정세 보다도 가벼운 연예 뉴스에 관심을 가지는건 마찬가지 인 것 같다. 다만, 종종 북한 이야기가 뉴스에서 나오기 때문에 North Korea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부분이 있기에 Korea 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그리 낯선것 같지는 않아 보인다.

 

어제 봉준호 감독의 수상 소식에 커뮤니티에서 다들 이제 "두유노 싸이?"에서 "두유노 봉준호?"로 바꾸어야 하지 않겠냐는 이야기를 많이 하길래 오늘 아침 수업에 들어가서 학생들에게 직접 물어보았다. "두유노 봉준호?"하니 눈이 @.@ 이렇게 되면서 무슨소릴 하는거냐는 표정을 짓길래, 그리고 한참 국뽕이 빠져 '오늘은 기여코 한국이야기를 한번하고 가리라'는 생각에 빠져 다시 한번 물어본다. "두유노 패러사이트?"하니 한 친구가 그나마 어제 시상식을 보았는지 끄덕거린다. ㅎ

 

외국에 나오면 애국자가 된다고 하고, 한국이 국위선양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곤 하는데, 어제가 그런날이 아닐까. 다만, 아직은 그런 외국문화를 많이 접하지 못한 시골사람들이 사는 시골에서 오늘도 열심히 가르쳐야 겠다는 동기부여 가득한 오늘인 것 같다. 

 

축하합니다. 봉준호 감독!

"두유노 봉준호?"

반응형
반응형

영화 평론가도 아니고, 평화보는 걸 좋아하긴 하나 또 그렇다고 하드코어하게 알지는 못하는 사람으로 이 주제를 깊이 이야기 하기는 그렇지만, 작년 Netflix orginal인 Roma가 Academy의 주요부분에 노미네이트 되고, 3개 부분을 받으면서 Netflix가 꽤나 선전을 하고 있는 것 같았는데, 올해도 역시 Netflix의 작품들이 많이 노미네이트 되었다. 아이리쉬맨, 결혼이야기, 두 교황, 클라우스, I lost my body, American factory, The Edge of Democracy 등

 

특히 Netflix의 American Factory는 2020년 Academy Awards에서 Best Documentary 상을 받으면서, Movie 와 Television production 사업에서 그 위치가 꽤나 공고해 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많은 컨텐츠 들이 Netflix의 production으로 부터 지원받고 Steaming되고 있는 것을 보면, Netflix의 공격적인 투자가 양적인 부분 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부분에서도 서서히 성과를 보이는 것 같다. 

 

2019년 3Q에 약 158.4 million paid user가 있다고 하고 (1억6천만명) 같은 해에 대략 16조($15 Billion)를 컨텐츠 제작에 쓴다고 하고 2020년에는 20조($17.8 Billion)을 쓸 예정이라고 하니 그 추세는 줄어들 기세가 없다. 이미 Apple, HBO, Amazon, Disney 등의 쟁쟁한 컨텐츠 골리앗 들의 등장과 앞으로 더 많은 Television production들의 자체 Streaming service 진출 예정으로 앞으로 이 시장은 엄청난 경쟁이 예상이 되면서, 이들의 전략이 현재까지는 잘 먹히는 것 같다. (https://www.vox.com/2019/12/17/21025154/netflix-global-growth-numbers-sec-streaming-investors)

 

얼마전 Disney+가 26.5 million의 가입자를 유치했다고 빠른성장을 보인다고 하긴 했는데, Disney+의 구독자로써 하나의 불평은 신규 컨텐츠의 확보가 느리다는 점에 있다. 이는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해 내는 Netflix에 익숙한 덕분일 수도 있다. 그래서 그런지 Netflix는 초기 Disney+로 인했던 걱정들이 상당히 기우 였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완전히 독보적인 segment를 구축하고 있음).

 

개인적으로 더욱더 관심있는 부분은 최근 Youtube가 각종 가짜뉴스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Netflix에서 의외로 양질의 컨텐츠들이 종류별로 있는 것을 감안할때 새로운 Learning platform으로 Netflix가 떠오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Youtube는 이런 부분을 제대로 핸들링 하지 못하면 조만간 각종 쓰레기 정보 집합소로 소비자에게 외면 받지 않을까 싶고, Netflix가 검색 기능이 충분히 강화가 된다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사실 Youtube는 현재까지 아주 잘 운용이 되고 있다. 2019년 기준 Ad-free premium user(뮤직 포함) 20million (2천만명)에 달하고 Youtube TV 또한 2 million (2백만명)을 확보하고 있다. 2019년 $15 billion (약 17조원)의 수익을 만들어 전체 Alphabet 수익에 약 10%를 차지하는 수준에 달하고 있다. (https://www.theverge.com/2020/2/3/21121207/youtube-google-alphabet-earnings-revenue-first-time-reveal-q4-2019). - 참고로 Google은 Youtube를 2006년에 $1.65 billion을 주고 인수하였다.

 

앞으로 이들 둘의 싸움이 또 기대가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