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etflix를 선두로 하여, Disney, HBO, Hulu 등 각종 Streaming 서비스들이 산업을 끌어올리면서, 그동안 케이블에 익숙해져 있던 우리의 생활은 완전히 달라져 버렸다. 그 중에 하나가 지난번에 이야기를 나눈"녹화와 편집되는 사회, 실시간이 사라지고 있다 07701.tistory.com/186" 이야기를 하였었다. 사실 이것을 약간 아쉬운 마음을 담아 글을 썼었지만, 실제로 좋은것인지 나쁜것인지의 가치평가 하기는 힘든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컨텐츠 스트리밍 산업이 발전하면서 기존 영화 소비의 플랫폼을 제공하던 극장과의 갈등은 물론이고, 각 스트리밍 플랫폼이 Exclusivity를 위한 Original 컨텐츠 제작에 들어가면서 기존 영화 제작사와의 갈등은 물론, 각종 시상식에서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제작한 컨텐츠를 받아주지 않는 등의 갈등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기존 레거시 업체들 (영화 제작사, 배급사, 극장 - 영화산업의 구조에 대한 공부가 필요한 시점이다.) 입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반갑지 않음을 물론이다.

 

실제로, 미국의 극장 체인 중에 하나인 AMC Entertainment는 2015년을 기점으로 점차 주식이 떨어지고 (기존 Streaming 업체의 확장으로 인한), 코로나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 중에 하나 임은 부인하기 힘들다. 코로나가 아니더라도 이러한 추세는 변함이 없었겠지만, 불난집에 기름을 부은 격이니, 앞으로 이러한 기업들의 전략이 궁금할 따름이다. (finance.yahoo.com/quote/AMC?p=AMC&.tsrc=fin-srch).

 

AMC Entertainment Holdings, Inc (AMC) Stock Price, News, Quote & History - Yahoo Finance

Find the latest AMC Entertainment Holdings, Inc (AMC) stock quote, history, news and other vital information to help you with your stock trading and investing.

finance.yahoo.com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나, 컨텐츠 제작에 관련된 회사 및 종사자들 입장에서는 기존에 소위 갑을 구조로 아주 빠듯한 예산과 엄격한 검열로 컨텐츠 및 제작에 간섭하던 제작사들에서 벗어나 이제 다양한 아이디어와 실험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이다. 한국에서도 각종 드라마 제작 현장의 열악한 상황은 이미 공공연한 사실인데, 돈만 주고 터치를 하지 않는다는 네플릭스 공룡의 등장으로 기존 제작사/배급사 입장에서는 아마도 발등에 불 떨어진 상황일 것이다 (www.mk.co.kr/news/business/view/2019/02/98138/). 거기다 천문학적인 금액을 컨텐츠 제작 비용에 쏟아 넣는 스트리밍 플랫폼의 등장으로 기존 레거시 기업들이 안절부절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네플릭스 같은 경우 2021년에 약 22조 정도의 금액을 투자할 계획, bmmagazine.co.uk/in-business/netflix-is-projected-to-spend-19-billion-on-video-content-in-2021/)

 

코로나로 인해서 극장에 접근을 못하게 되자, 다양한 영화들이 그동안은 꺼려왔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개봉작들을 내기 시작했고, 할리우드에서도 더이상 버티지 못해서 Universal Pictures에서 2020년에 개봉한 Trolls World Tour 같은 경우는 디지털 개봉 3주만에 전작 Trolls에서 극장을 통해 5개월 동안 벌어들인 돈을 넘겨버렸다고 하니 이는 그동안 회의적이었던 시각을 완전히 바꾸게 된 계기가 되었다 (www.wsj.com/articles/trolls-world-tour-breaks-digital-records-and-charts-a-new-path-for-hollywood-11588066202). 이러한 신규 개봉작들 뿐만 아니라, 사실 제작사 입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싫지도 않은 것이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가 생기면서 예전 Friends 와 Office 같은 스테디셀러 컨텐츠에 대한 경쟁도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Disney+ 에서 뮤지컬 Hamilton을 $75million에 사기도 했음 (observer.com/2020/02/disney-hamilton-movie-release-date-streaming/). Disney도 자사컨텐츠에 대한 디지털 개봉을 진행하고 있고 실사판 뮬란을 비롯하여, 최근 Raya and the last dragon 이라는 애니메이션의 경우는 100% 원격으로 제작을 진행하였다고 하니 새로운 제작 현장 또한 기대하게 만들고 있다.

 

이러한 스트리밍 서비스들의 성장으로 인해 영화 포멧 자체의 변화도 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컨텐츠 적인 파격은 물론이고, 기존 영화가 극장 상영을 위해서는 대략 2시간 정도의 시간제약이 있었다면 스트리밍 플랫폼이 성장하면서 이러한 컨텐츠 적인 제약은 물론 시간적 제약에서도 자유로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필자가 기억하는 아주 긴 기존 영화는 '마지막황제, The last emperor (3h 39m)'를 본 기억이 있고, '쉰들러리스트, Schindler's list (3h 17m)'도 기억이 난다. 그리고, 군대 휴가때 심야영화로 보려고 했으나 보지 못했던 공포영화 '킹덤, The Kingdom (4h 40m)'이 기억이 난다. 물론 아주 긴 장편 영화가 없었다고 할수는 없지만, 앞으로 이러한 시간제약에서 더 자유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Netflix의 '아이리쉬맨 (3h 30m)' 이나 HBO를 통해 개봉한 'Zack Snyder's Justice League (4h 2m)'을 비롯하여 앞으로 이러한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반대로 짧은 영화 또한 시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VR 기술의 발전 등으로 인해서 이러한 변화가 더 빨리 진행이 될텐데, 영화산업 어떻게 될지 함께 지켜보기로 하자. 

 

반응형
반응형

아무래도 학기 중에는 무엇인가 집중하기가 쉽지가 않다. 특히, 지금처럼 (아마도 한 20년쯤 후에, "그때 2020년에 말이야 코로나 라는게 세상을 많이 어지렵혔지" 라고 할아버지 처럼 이야기 하겠지만) COVID 19 상황에서 학교와 전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함께 하고 있는 일일 상황 대처 능력을 살펴 보았을때, 아직 영주권도 나오지 않은 초보 이민자 이자, Pre-K와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그리고 갑작스레 Hybrid에서 100% 온라인으로 수업 방식을 변경해야하는 교수이자 인턴십에 대한 상담 및 승인을 해주는 일이 큰 일 중에 하나인 Associate Chair 를 맡고 있는 상황에서 조용히 정신을 차리고 글을 쓰기 위해 집중 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저 하루하루 삶을 살아가기 위한 노력을 할 뿐,

 

학기가 거의 마무리 된 상황에서 그 동안 쓰고자 했던 글을 다시금 써보려고 한다. 

 

읽은지 좀 된 책이지만, Audible을 통해 공개가 되자마자 바로 읽어버린 2020년에 출간된 Susan Fowler의 Whistleblower라는 책이다. 이 책의 소제목은 My Journey to Silicon Valley and Fight for Justice at Uber 이다. 이 책에 내가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이 책의 출간을 알려주는 소개 글을 읽었는데 Uber의 기업 문화를 이야기 한다고 해서 이다. (https://www.amazon.com/Whistleblower-Journey-Silicon-Valley-Justice/dp/B084G8TQ56/ref=sr_1_1?dchild=1&keywords=whistleblower&qid=1588136968&sr=8-1)

 

이 책 이전에 소위 현재 핫한 기업들의 조직문화를 다룬 책 중에 인상적이었던 것이 Netflix의 이야기를 다룬 Patty McCord의 Powerful: Building a Culture of Freedom and Responsibility (https://www.amazon.com/Powerful-Building-Culture-Freedom-Responsibility-ebook/dp/B077Y4WVPT/ref=sr_1_3?dchild=1&keywords=powerful&qid=1588137570&sr=8-3) 였는데, 이곳에서 Netflix 내부에서 어떠한 식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북돋고 실행하는지, 그리고 Netflix 만의 독특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 인상적이었는데, 그래서 Uber라는 또다른 핫한 유니콘 기업의 조직 문화가 궁금했다.

 

다만, 책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Powerful처럼 긍정적인 이야기를 다루는 책은 아니다. Susan이 애리조나 시골에서 성장해서 University of Pennsylvania를 거쳐 Uber에 이르는 과정과 Uber에서 겪어야 했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어렵게 UPenn에서 물리학 대학원 과정을 지원하려다 그것을 포기하고 Silicon Valley로 넘어와 Software Engineer로써 커리어를 쌓아 Uber로 가는 과정과 Uber에서 겪어야 했던 일들을 Susan 본인의 시각으로 자세히 풀어내고 있다. 물론 화자의 입장만을 듣고 어떤 일들의 결론을 내는 것은 위험한 일이라 이 글에서 자세한 이야기는 하지 않을 예정이지만,

 

Susan이 UPenn에서 겪어야 했던 일들 그리고 Uber에서 겪었던 경험들은 사실 지금의 기준으로 봤을때 (얼마 오래되지 않은 일이라) '정말?' 이라는 느낌이 많을 정도로 답답했고, 이 곳에서도 아직까지 바꾸어야 할 것들이 많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자세한 설명은 독자들의 판단에 맡기면서, 전반적으로 든 생각은 우리가 알고 있는 Silicon Valley에서 핫하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의 문화가 정말 TV에서 많이 본 구글의 그것처럼 자유로운 출퇴근에, 사무실 어디에서나 밝은 빛과 멋있는 뷰, 그리고 다양한 인종을 고려한 언제든지 먹을 수 있는 구내 식당의 화려함과 회사 캠퍼스의 자유스러운 분위기는 단편적인 모습이라는 것이다. 

 

Susan이 이야기 했듯이 Uber가 회사 특성상 Software Engineer가 많을 수 밖에 없는데, Software Engineer의 극도로 불균형된 성비 (사실 이 부분은 누구의 잘못도 아닌 Demographic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자료를 찾아보지는 않았음 - 나중에 업데이트 예정)에 대한 이야기도 사실 좀 놀라웠고, 그리고 회사가 회사 내부에서 발생한 일들에 대한 처리 방법에서도 의아한 점이 많아서 꽤나 충격적으로 다가 왔다. 

 

일면으로는, 스타트업 회사의 경우 투자를 받거나 다음 라운드 투자를 받기 위해서 실적 압박에서 기존 이미 성공을 거둔 기업에 비해 자유로울수는 없다. 그러다 보니 회사 내부에서 실력을 인정을 받거나 실적이 뛰어난 사람에게 회사의 명운을 걸 수 밖에 없는 고민도 있을 것이다. 그러다 보면, 그 고성과자가 어떠한 잘못을 저질러도 Top management team에서는 눈을 감아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과연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 고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해 읽었던 Theranos의 이야기를 다룬 Bad Blood: Secrets and lies in a Silicon Valley startup (https://www.amazon.com/dp/B078VW3VM7/ref=dp-kindle-redirect?_encoding=UTF8&btkr=1)에서도 폐쇄적인 기업 문화를 엿볼 수 있었는데, 각 조직 문화에 대한 명암과 그 암을 해결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한 고민을 해볼만 한 책이라 소개한다.

반응형
반응형

영화 평론가도 아니고, 평화보는 걸 좋아하긴 하나 또 그렇다고 하드코어하게 알지는 못하는 사람으로 이 주제를 깊이 이야기 하기는 그렇지만, 작년 Netflix orginal인 Roma가 Academy의 주요부분에 노미네이트 되고, 3개 부분을 받으면서 Netflix가 꽤나 선전을 하고 있는 것 같았는데, 올해도 역시 Netflix의 작품들이 많이 노미네이트 되었다. 아이리쉬맨, 결혼이야기, 두 교황, 클라우스, I lost my body, American factory, The Edge of Democracy 등

 

특히 Netflix의 American Factory는 2020년 Academy Awards에서 Best Documentary 상을 받으면서, Movie 와 Television production 사업에서 그 위치가 꽤나 공고해 진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많은 컨텐츠 들이 Netflix의 production으로 부터 지원받고 Steaming되고 있는 것을 보면, Netflix의 공격적인 투자가 양적인 부분 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부분에서도 서서히 성과를 보이는 것 같다. 

 

2019년 3Q에 약 158.4 million paid user가 있다고 하고 (1억6천만명) 같은 해에 대략 16조($15 Billion)를 컨텐츠 제작에 쓴다고 하고 2020년에는 20조($17.8 Billion)을 쓸 예정이라고 하니 그 추세는 줄어들 기세가 없다. 이미 Apple, HBO, Amazon, Disney 등의 쟁쟁한 컨텐츠 골리앗 들의 등장과 앞으로 더 많은 Television production들의 자체 Streaming service 진출 예정으로 앞으로 이 시장은 엄청난 경쟁이 예상이 되면서, 이들의 전략이 현재까지는 잘 먹히는 것 같다. (https://www.vox.com/2019/12/17/21025154/netflix-global-growth-numbers-sec-streaming-investors)

 

얼마전 Disney+가 26.5 million의 가입자를 유치했다고 빠른성장을 보인다고 하긴 했는데, Disney+의 구독자로써 하나의 불평은 신규 컨텐츠의 확보가 느리다는 점에 있다. 이는 하루가 멀다하고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해 내는 Netflix에 익숙한 덕분일 수도 있다. 그래서 그런지 Netflix는 초기 Disney+로 인했던 걱정들이 상당히 기우 였다는 걸 보여주는 것 같기도 하다. (완전히 독보적인 segment를 구축하고 있음).

 

개인적으로 더욱더 관심있는 부분은 최근 Youtube가 각종 가짜뉴스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Netflix에서 의외로 양질의 컨텐츠들이 종류별로 있는 것을 감안할때 새로운 Learning platform으로 Netflix가 떠오르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Youtube는 이런 부분을 제대로 핸들링 하지 못하면 조만간 각종 쓰레기 정보 집합소로 소비자에게 외면 받지 않을까 싶고, Netflix가 검색 기능이 충분히 강화가 된다면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사실 Youtube는 현재까지 아주 잘 운용이 되고 있다. 2019년 기준 Ad-free premium user(뮤직 포함) 20million (2천만명)에 달하고 Youtube TV 또한 2 million (2백만명)을 확보하고 있다. 2019년 $15 billion (약 17조원)의 수익을 만들어 전체 Alphabet 수익에 약 10%를 차지하는 수준에 달하고 있다. (https://www.theverge.com/2020/2/3/21121207/youtube-google-alphabet-earnings-revenue-first-time-reveal-q4-2019). - 참고로 Google은 Youtube를 2006년에 $1.65 billion을 주고 인수하였다.

 

앞으로 이들 둘의 싸움이 또 기대가 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