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NIST에 처음 들어갔을 때 첫 수업의 긴장감과 부담감은 아마 어떻게 표현해도 부족할 것인데 그만큼 준비를 정말 많이 했고, 한국에 있는 학생들에게 영어로 가르치는 것은 또 어떨까? 요즘 친구들은 영어를 잘한다던데, 여기는 학생들이 똑똑하다던데, 미국에서 울산으로 오고 나서 연구실에서 많은 시간을 들여 수업을 하였다. 당시에는 새로운 과목을 열어야 했었는데 '인터넷 비즈니스'였다. 일단 학생들이 '인비'라고 줄여서 부르는 것이 재미있었고 (사실 모든 말을 줄여서 이야기하는 문화를 처음 접해서, 학교 식당 -> 학식), 생각보다 학생 수가 많아서 고민이 근심/걱정이 많았다.

 

처음 들어갔으니 그 부담감만큼 열정도 가득했는데, 돌이켜 보면 그만큼 엄청 힘든 수업이었다. 학기 중에 학생들이 "교수님 수업 4개 듣는 것 같아요" 하면서 불평을 늘어놓기도 했지만, 그래도 꽤 재미있게 수업을 잘 진행한 것 같았다. 나중에 강의 평가에서는 "수업이 너무 힘들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었고, 돌이켜 보면 내 수업 하나만 듣는 게 아닌데 너무 심했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런 걸 난이도 실패라고 하나 보다. 

 

나에게는 정말 의미있었던 UNIST 첫 수업

부담은 되었지만, 학생들과 그렇게 소통하는 게 참으로 좋았다. 지금도 그런 마음이기도 하고 항상 노력을 하지만, 수업은 함께 만들어간다고 생각한다. 그러기에 나름 궁합이 잘 맞아야 역시 덜 피곤하고 오히려 많은 걸 가르쳐 주고 싶은 마음도 든다. UNIST의 학생들은 참 똑똑했다. 열심히인 것은 두말할 것도 없고, 몇몇 학생들이 "교수님 수업 다 들을 거예요" 하는 말이 그렇게 힘이 될 수가 없었다. 

 

미국에서 첫 수업은 Capstone 수업인 Strategy이었다. 사실 나 스스로 준비가 더 되었어야 했는데, 미국으로 가족을 이사하고 아이를 초등학교에 전학시키고 집 구하고 적응하고 한다고 뭔가 정신없이 지나갔고, 이미 수업을 한번 해봤던 거라 준비가 부족한 면도 분명히 있었는데, 결론적으로는 또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고 말았다. 사실 이 기저에는 미국 대학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인데, UNIST의 경우 국가에서 장학금을 전체를 지원하고,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다 보니 열심히 밖에 할 것이 없었지만, 미국 대학생은 대부분 full time/part time job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몰랐다. 처음에 미국에서 누군가 이메일로 '내가 일을 해야 해서 수업을 못 갈 것 같아' 하길래. '잉? 어처구니가 없네'하는 반응이었는데 - 물론, 학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게 주로 하는 게 맞지만, 이런 일이 부지기수다-,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이 돈을 벌어 학비를 대거나, 싱글맘이거나, 나이 들어서 늦게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나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학생의 스테레오 타입과는 조금 거리가 멀었다. 

 

첫 퀴즈가 12점 만점이었는데 평균이 2점이 살짝 넘어서.. '이것들이 ㅡ.ㅡ'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뭐 어쩌랴. 내가 잘 못 가르친 탓이겠지.라고 level control의 실패를 인정해야 했다. 아울러 미국 애들이 토론을 잘한다고 일반적으로 한국에 알려져 있긴 하지만, 수업시간에 말 안 하는 건 한국이나 미국이나 마찬가지다. 아직까지 저치들의 입을 어떻게 열까 고민이다. 한 수업은 17명이고 아침 수업이라 일단 참여하는 태도부터가 다른 아이들이지만, 그다음 수업은 28명에 미국의 전형적인 백인 운동하는 애들이 반 정도 되고 이것들은 앉은 건지 누운 건지 알 수 없는 자세로 제일 앞자리에 있으니 아직도 이를 어찌해야 하나 고민이 되는 건 사실이다. 그렇지만 수업은 그럭저럭이고 한국이나 미국이나 잘하는 친구들은 잘하고 관심 없는 애들은 딴짓한다. 그렇게 핸드폰 쓰지 말고 점수 깎는다고 이야기했는데도 말이다. 더 강하게 나갈지 접어둘지 manage 방법을 항상 고민한다. 최근에 기술의 발전은 좋지만 Airpods 같은 걸 귀에 꼽고 수업에 앉아 있으면 당황스럽다.

 

제일 힘든 부분은 사례인데, 한국에서 한국기업이나 미국의 주요 큰 기업들 몇 개는 익숙하긴 하지만, 미국의 전체적인 시장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기에 적절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참 힘들었다. 그만큼 많은 시간을 쓰긴 했고 주로 Amazon, Uber, ToysRus 같은 일반적인 사례로 접근을 시도하였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는 비즈니스 환경이라 사실 사례야 무궁무진한 편이긴 하다. 다만 그것들의 깊은 정보를 파려면 많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학교와 처해진 주변 환경이 달라서 UNIST의 경우에는 치열함을 이미 겪고 그 자리에 온 친구들 그리고 앞으로의 불확실성으로 몸부림치는 느낌이 강했다면 이곳은 훨씬 더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 물론 이곳의 학생들도 삶의 치열함은 있지만, 최근 미국 경기가 호황이고 이 넓지 않은 반도에서 그래도 인정받는 학교라 근처에 있는 기업들이 우리 학생들을 서로 데려가려고 하기에 취업 걱정을 하는 친구를 본 적이 없다. 뭐랄까 '이건 선택의 문제야' 같은 태도. 한편으로는 그것들이 부럽기도 하고 한국의 학생들이 안쓰럽기도 하다. 

 

공통적인 건 한국이던 미국이던 할 놈은 하고 안 할 놈은 안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