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유학을 생각하면 영어가 필요하다. 고등학교 무렵까지 영어에 아예 관심이 없는 편은 아니었다. 팝을 듣는 걸 좋아했고, 영어 공부하고 단어 외우는걸 꽤나 즐겼던 것 같다. 그렇지만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분들은 공감하시겠지만 문법 단어만 죽어라 했었다. 실제로 한국인이 아니라 외국인이랑 영어를 해본 게 군대 제대를 하고 나서이고, 그 당시에는 지금처럼 인터넷이 아주 활발하거나 Youtube 채널이나 Netflix 같은 영어 콘텐츠를 접하는 게 아주 활발하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불가능하지는 않았지만, 공부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고, 영어도 졸업이나 취업을 위해 공부한 거지 굳이 유학을 위한 건 아니었다). 요약을 하자면 인도에 갈 때까지 남들이 하는 정도의 정규 영어과정을 밟았다고 보면 된다.

 

시간 순서대로 이야기를 해보자면,

 

인도에 갔을때 미드 Friends를 접하게 되는데, 당시 특별히 할 것이 많지 않았고, 한국에 돌아가면 취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 일상생활 영어에 집중하게 되었다. 그 목적을 위해서는 Friends가 상당히 좋은 영어공부 재료가 되었다. 프렌즈는 대략 시즌 1의 5개 정도 에피소드가 넘어가면 그 스토리에 빠져서 계속해서 볼 수 있는데 나의 경우에는 시즌 1 5개의 에피소드를 처음에는 자막 없이, 다음은 영어자막, 다음은 한국 자막 순으로 3번씩 돌려서 보기 시작했다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게 만만한 게 아니다). 그러다 5개 정도 에피소드를 넘어서서는 그냥 스토리에 빠져 한글자막을 켜놓고 (당시에 듣기가 거의 안되었다고 보면 된다) 마치 아침드라마 빠져보듯 보기 시작했다. 기억이 정확히는 안 나지만 당시에 시즌 5인가 6까지 CD로 구워서 들고 온 친구가 있어서 곧 내가 접할 수 있는 모든 시즌을 다 보게 된다. 근데 더 이상의 콘텐츠를 구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시즌1~시즌5까지 다시 한번 정주행을 하게 되고 그게 3번 째인가가 되었을 때 그들의 말이 하나둘씩 적응(들린다기보다는 적응이라는 말이 맞는 듯 목소리나 각 캐릭터의 성향을 이해하면서)되기 시작했다. 계속해서 한글자막을 보다가 가끔 재미있는 대화 상황이 나오면 그 부분을 자막 없이 한번 보고, 그러다 잘 알아듣지 못할 경우 영어 자막을 보고 확인하는 과정을 계속하게 되었다. (일단 공부도 재미있고 봐야 한다). 그렇게 각 에피소드를 대략 5번~6번 정도를 보니 처음에 비해서 상황에 대한 이해나 듣기가 한결 수월해지기 시작했다. 돌이켜 보건데, 재미없는 대화 상황을 무작정 듣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는 있는데, 일단 콘텐츠가 재미있어야 여러 번 보거나 들을 수 있고, 단순히 스크립트를 보거나 글자를 보고 대화 상황을 외우는 것도 필요하지만 미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더해지면 아! 그래서 이 상황에서 이런 표현을 쓰고 이렇게 표현하는구나!라는 느낌이 더 와서 머리에 잘 남는다. 그 이후에도 시즌 10이 마무리될 때까지 그리고, 지금까지도 굳이 화면을 보지 않고 집안일을 하거나 청소를 할 때 계속해서 틀어 놓는다. 통계는 내어보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각 에피소드 당 적어도 50번은 본 것 같다. (2020년 1월 1일부터 Netflix에서 빠지게 되어 아마 이제는 보기 힘들지 않을까 싶다. 내 친구들)

 

* 프렌즈는 시즌 10으로 마무리가 되었고 1994년 처음 방송되어 각 시즌당 18개에서 25개까지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총 236의 에피소드 * 50 을 해보라.. 엄청난 시간을 들었다고 보면 된다.

 

이렇게 영어공부의 한 고비가 넘어가니 조금은 듣기가 수월해졌던 것 같고 나중에 토플이나 GRE준비에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물론 시험으로 제일 도움이 많이 되었던 건 토익인 것 같지만, 이런 과정을 거치니 100% 영어수업을 했던 석사과정에서 발표를 할 때 자신감과 도움이 되기도 했었다. 

 

한국으로 돌아오고 석사과정을 하면서 영어로 수업을 하긴 했지만 그때 아주 많이 영어가 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에서 한국사람들끼리 (교수님들 그리고 학생들) 영어로 수업하는 게 꽤나 이상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아무래도 모국어가 아닌 능력으로 아주 고급의 지식을 다루는 건 좀 문제가 있어 보이긴 한다. 특히 배우는 사람 입장에서 당최 무슨 말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아 사고의 폭이 좁아지는 것 느낌이다. 석사 과정이 끝날 무렵 취업을 해야 하기에 토익을 준비했는데, 대략 850~890점 수준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도 900점을 넘어서고 싶었는데 정말 선을 그어놓은 것처럼 넘지 못해 결국은 한 달 동안 토익 학원을 수강을 했는데 그때 시험 치는 요령을 배워 바로 940점인가로 마무리한 것으로 기억한다. 이 점수는 한국기계연구원에 입사할 때 쓰였고, 마지막 면접 때 영어공부를 어떻게 했냐고 한 분이 물어보셨는데 Friends이야기를 했었다.

 

유학을 결심하고 본격적으로 토플(* 그전에 편입 관계로 토플을 몇 번 쳐본 적이 있음)과 GRE를 준비했는데, 많은 분들이 추천한 바와 같이 일단 GRE부터 준비를 시작했다. 경영대학 같은 경우는 MBA나 박사과정 공히 GMAT을 주로 받는데, GMAT을 쳐본 적은 없지만 내가 알기로는 GMAT은 영어+논리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고 들었고, 직장을 다니면서 많은 시간을 쓸 수 없었던 나는 GRE가 맞다고 판단해 GRE를 준비하였다. GRE는 무거운 엉덩이가 중요하다 (2006~7년 이야기라 지금은 상황이 다를 수 있다). 일단 시험의 성격이나 요령, 공부 방법을 전혀 몰랐기에 학원을 다니기로 하고 이왕 다닐 거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서울에 주말반 GRE 학원을 다니기로 한다. 그래서 주중에는 일을 하고 퇴근 후 집에 와서 영어공부를 하고 주말에는 아침 첫차를 타고 서울로 가서 수업을 오전/오후에 듣고 저녁에 버스를 타고 대전으로 내려오는 것을 두 달 정도 계속하였다. 이후 어느 정도 시험에 대한 감이 생기자 학원을 다니기를 그만하고 (GRE학원도 비용이 만만치 않고 매주 서울로 왔다 갔다 하는 것도 금전적으로 부담이 컸다) 홀로 준비를 했다. 인터넷에 커뮤니티가 상당히 발달되어 있어 지방에 있어도 제법 많은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출연연구원의 기획팀의 경우, 각종 자료 요청이 많아 야근이 꽤 많은 편이었는데, 하루의 일정을 구체화할 수 없어서 일 야근이 있던 없던 단어 공부를 계속했다. 하루의 대략 일정은 6시 30분 기상, 8시 ~ 저녁 9시 (야근이 많아 들쭉날쭉 이었는데 대략 출퇴근 시간을 포함하면 평균적인 근무시간이었다) 그 이후 대략 저녁 10시부터 새벽 1시~2시 정도까지 공부를 계속했다. 이 과정이 꽤나 고통스러웠는데 GRE 시험 자체의 비용도 만만치 않아 준비를 많이 할 수밖에 없었고 많은 분들이 가능하면 짧고 Intensive 하게 공부해서 빨리 끝내라라고 조언을 하는데 개인적으로 동의한다. 결국 GRE는 대략 암묵적 턱걸이 점수를 받고 그만하기로 하였다.

 

GRE 이후에 토플 시험을 쳤는데 아무래도 큰 산을 넘고 그 뒤의 언덕은 얕잡아 보기 일수다. 하지만 시험의 형태가 다르기에 조금 다른 준비가 필요하고 토플도 미니멈 점수를 조금 넘어서는 수준에서 마무리하기로 한다. 공부 방법은 GRE와 같은 시간대에 공부를 회사를 다니면서 지속적으로 하였고 GRE보다는 더 짧은 시간에 집중해서 진행하였다. 예전에 편입 준비를 하면서 토플 학원에 다닌 적이 있기에 시험의 형식이 낯설지는 않아서 별도의 학원은 다니지 않고 인터넷의 자료와 토플 공부책을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서울에 영어학원에서 풀타임으로 GRE나 토플 공부를 하는 학생(팀)들을 많이 보았는데, 풀타임을 공부해도 쉽지 않은 준비기간이고, 직장인이라면 더더욱 쉽지 않고 고통스러운 시간임은 분명하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짧은 시간 내에 끝내라고 조언하는 것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지금에 와서 돌이켜 보면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건 나중에 미국에서 교수가 되든 간에 그때만큼 집중에서 영어공부를 하지 않기에 그 시간이 단순히 입학용 시험 점수를 위해 한다는 마음 가짐보다는 입학 후 닥치게 될 훨씬 더 큰 산을 넘는데 자산이 된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공부하면 조금 더 열심히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나중에 교수가 되고 유학을 준비하는 친구들이 영어점수에 대해서 질문을 종종 하였는데, 그중에 하나가 Minimum 점수를 넘긴 했는데 조금 더 좋은 점수를 받으면 Admission을 받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하는 질문이 많았다. 물론 좋은 점수를 받는 건 좋은 일이긴 한데, 학생을 선발하는 입장에서 바라보면, 대학원 유학이라는 것은 (특히, 박사과정) 교수 입장에서 자신과 오랜 기간 동안 함께 연구할 동료를 찾은 과정과 마찬가지로 본다. 그리고 미국의 대학원의 경우에는 영어가 모국어인 미국인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영어에 문제가 없는 친구들이 지원을 하기에 영어 점수가 미니멈이 된다면 영어보다는 연구에 초점을 두고 자신의 스펙을 만드는 게 훨씬 더 도움이 된다고 본다. 아울러 영어점수가 어느 정도 되면 이제 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차피 영어는 모국어가 아닌 이상 평생 공부해야 한다는 점도 있다. 

 

또한, 나는 영어공부가 시험/공부용과 회화용이 있다고 생각한다. 토플/GRE와 같은 영어공부는 입학 때도 도움이 되지만, 나중에 논문을 읽거나 쓰는 등의 공적인 업무에서 많이 도움이 된다. 즉, 입학시험만을 위한 게 아니라는 의미이다. 나의 경우 경영학이라 신문을 많이 보려고 하는데 이런데에서도 시험/공부용 영어공부가 도움이 많이 된다. 하지만, 아마도 많은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이 시험/공부용에 집중을 하고 회화용 영어공부는 조금 등한시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생각해보면 이제 당신이 Admission을 받으면 미국 사회에서 살게 된다는 것이고 회화는 생활 모든 면에서 중요한 자산이 된다. 아울러 나중에 미국에서 잡을 잡길 원한다면 인터뷰를 하게 되는데, 이때 회화, 발표 능력은 아주아주 중요하다. 그러기에 이 두 가지 토끼를 다 잡아야 한다. 

 

이 글을 다 읽을 때쯤 아마 한숨이 나올 것 같은데, 그렇다. 우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어려운 일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제 막 첫걸음을 뗀 것에 불과하다는 게 독자들을 지치게 하지 않았음을 하는 바람이다. 지치고 힘이 들 때 우리가 왜 이 길을 가려고 했는지, 이 길의 끝에 어떠한 결실이 있을지 다시 한번 떠올려 보길 바란다.

반응형

+ Recent posts